본문 바로가기

Story../IT

'AMOLED 생산 내년엔 3배로 급증' 外

[반도체]

 

<낸드플래시 오랜만에 기지재 / 모바일 신제품 출시 기대로 가격 상승>

-지난 5월 전반기 이후 계속 하락세를 이어갔던 낸드플래시가 오랜만에 상승세로 반등. 1 D램익스체인지에 따르면 낸드플래시 주요 제품인 32Gb MLC 8월 후반기 고정거래가격은 4.43달러로 보름 전에 비해 2.99% 상승하였음.

-이 제품의 고정거래가격은 올들어 2월 전반기까지 5.38달러를 유지했으나 이후 등락을 거듭함. 지난 4월 후반기부터 계속 하락세를 이어갔으며 8월 전반기 4.35달러로 떨어졌으나 하반기 반등해 상승세로 돌아선 것임.

-PC D램을 포함해 모바일D, 서버용D램 등 스페셜D램 가격도 하락세로 돌아선 가운데 낸드플래시가 올 하반기 들어 처음으로 상승. 또 다른 제품인 16Gb MLC 8월 후반기 고정거래가격은 2.83달러로 이 역시 보름 전에 비해 5.60% 상승한 값임.

-애플 아이폰5을 비롯한 스마트폰 신제품과 스마트패드가 하반기 시장을 겨냥해 대거 출시되면서 낸드플래시 가격에 영향을 준 것으로 풀이되고 있음.

 

 

<하이닉스, 9분기 만에 적자로 전환될 듯>

-메모리 반도체 최대호황기를 맞이해 하이닉스는 지난해 한때 영업이익률이 39.8%까지 올랐으나 지속된 시황 악화로 이번 분기에 마이너스로 돌아설 것으로 보임. 적자는 4분기 더 늘어날 전망이지만 내년 초에는 흑자로 다시 돌아설 것으로 예상됨.

-28일 반도체 업계와 증권가는 하이닉스 3분기 실적이 전분기 대비 큰 폭으로 내려앉으면서 적자 전환될 것으로 내다봄. 시장에서 예상하는 적자폭은 대략 500억원에서 3000억원까지 산출 기준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음.

-적자로 돌아서는 가장 큰 이유는 PC D램 가격 하락에 따른 수익 감소. 적자폭 예상치가 차이를 보이는 것은 서버용D램과 모바일D램 등 스페셜티 D램 가격 때문으로, PC D램 하락에 영향을 받아 점차 떨어지고 있는 스페셜티 D램 가격 추산치가 다르기 때문임.

-하이닉스는 전체 D램 반도체 중 PC D램 비중이 30%고 나머지가 스페셜티 D램임. 따라서 PC D램 비중이 높은 대만이나 일본 기업에 비해서는 상대적으로 타격이 작음. 그러나 스페셜티 D램도 가격하락이 이어지면서 3분기 적자를 기록할 전망이며, 이번 분기에 낸드플래시는 선전한 것으로 알려졌으나 D램 부문 실적이 더 큰 폭으로 악화된 것으로 분석됨.

 

 

<메모리 반도체업계, 구조조정 압박에 내몰려>

-실적이 부진한 비주류 메모리 반도체업체들이 구조조정 압박에 내몰리고 있다고 블룸버그통신이 시장전문가들의 분석을 종합해 1일 보도함.

-블룸버그 ; 부채 증가와 수익성 악화에 시달리는 메모리 반도체 기업으로 프로모스, 파워칩, 엘피다 등을 거론. M&A와 사업 철수가 불가피하다는 전문가들의 견해도 가감없이 전달함.

-대만계 반도체업체 프로모스는 16분기 연속 적자를 기록하고 있으며, 일본 엘피다는 제조비용보다 낮은 판매가로 인해 부채 규모가 46억달러에 달함. 한 때 승승장구하던 이들 업체들이 위기에 몰린 것은 소비자PC 판매 감소와 D램 가격 하락 때문. 신문은 D램 가격이 지난해에만 26%가 내렸으며, D램 기업들의 시장 가치는 올해 19%가량 떨어졌다고 분석함.

 

 

 

 

[FPD]

 

<"스마트패드 10대 중 9대는 한국산 패널" LGD / 삼성 석권>

-올해 IT 및 모바일 기기 최대 히트상품인 스마트패드(태블릿PC) 시장에서 우리나라 LCD 업체들이 톡톡한 재미를 보고 있음. 세계 금융위기로 TV나 모니터 등 주요 LCD 제품이 판매 부진에 빠진 가운데 국내 기업들은 스마트패널 시장을 석권하면서 대만기업과 수익률 경쟁에서 앞서나가고 있다는 평가가 나옴.

-29일 디스플레이서치 조사 ; 올해 스마트패드용 LCD 패널 시장에서 LG디스플레이가 3486만대를 출하, 시장 점유율 53.6%를 기록할 전망. 뒤를 이어 삼성전자 LCD사업부가 2346만대로 36.1%를 차지할 것으로 예상.

-LG디스플레이와 삼성전자를 합친 시장 점유율은 89.7%에 이르며, LCD 시장 전체 국내 기업 점유율이 50% 초반인 점을 감안하면 스마트패드 LCD에서는 사실상 시장을 석권하는 셈. 대만 업체인 CMI, 한스타 등이 3% 수준으로 뒤를 이었지만, 우리나라 업체들과는 10배 이상 큰 격차를 보일 전망.

-스마트패드 시장에서 우리나라 LCD 업체들이 두각을 나타내는 배경은 애플 아이패드와 삼성전자 갤럭시탭 등 시장을 주도하는 제품을 선점했기 때문. 특히 LG디스플레이는 애플 아이폰에서 검증된 광시야각 패널 IPS(In Plane Switching)를 기반으로 주력 공급 업체로 자리매김했고, 삼성전자도 IPS 계열인 PLS(Plane to Line Switching) 패널로 애플 공급에 성공함. 또 자사 제품인 갤럭시탭에도 패널을 공급, 점유율을 확대함.

-올해 전체 스마트패드용 LCD 패널 시장은 6500만대 수준에 달할 전망으로, 이는 작년(1882만대)보다 3.4배나 큰 폭으로 성장한 것임.

 

 

<LG디스플레이, 내년 신규 LCD 투자 안 한다…2007년 이후 5년만에>

-지난 2007년 이후 5년만에 LG디스플레이가 내년에 신규 LCD 팹 투자를 하지 않기로 결정함. 내년에도 대형 LCD 공급 과잉이 지속될 것이라는 판단아래, 무리한 투자보다 보수적인 경영 전략으로 선회한 것으로 풀이.

-이는 대규모 양산 투자를 통해 규모와 가격 경쟁력을 갖추고, 점유율을 확대하는 LCD 업계 성장 법칙이 당분간 유효하지 않다는 입장을 밝힌 것으로 풀이됨. LG디스플레이는 지난 2008년 이후 총 10조원이 넘는 8세대 투자를 통해 양산 경쟁을 주도해 왔으나, 최근 시황을 놓고 볼 때 급격한 시황 회복은 어렵다는 판단을 한 것으로 보여짐.

-내년 LG디스플레이 시설투자 규모는 지난 2007 16000억원 이후 최저 수준임. LG디스플레이는 최근 파주 P9 신규 공장 투자액 중 약 1조원을 내년으로 이월한 바 있으며, 이에 따라 올해 총 시설 투자액은 5조원 중반에서 4조원 초반대로 조정되었음. 8세대 가동률을 낮춰 대형 LCD 패널 공급을 줄이고 있음.

 

 

<AMOLED 생산 내년엔 3배로 급증>

-차세대 디스플레이인 유기발광다이오드(AMOLED) 생산 규모가 내년엔 3배로 크게 증가할 것으로 예측.

-29일 디스플레이서치 발표 ; 삼성 모바일 디스플레이(SMD) 5.5세대 공장 가동이 본격화되며, AMOLED 생산량이 올해 89만㎡에서 내년 260만㎡로 3배 가까이로 늘어날 전망. 특히 내년 1분기에는 SMD 5.5세대 공장이 100% 가동, 월평균 8만대를 생산할 수 있을 것이라고 분석.

-LG디스플레이를 비롯해 중국의 LCD 제조업체인 AOU, 치메이 이노룩스 등이 앞으로 2년 안에 AMOLED 설비에 투자할 것이라고 디스플레이서치는 추정함.

-또한 LCD 시장 불황으로 대부분 업체들이 4분기 연속 적자를 기록하는 상황에서 AMOLED 공급은 오히려 부족하기 때문에, 상당수 업체들에 AMOLED 생산이 대안이 될 수 있다고 덧붙였음.

 

 

 

[이차전지]

 

<국내 유일 2차전지 소재 기업들 '실적 호조'>

-2차 전지 소재 업체인 후성과 에코프로가 시장 독점 효과를 톡톡히 누리고 있음. 국내 유일의 소재를 양산/공급하는 위상에 힘입어 괄목할 만한 실적을 거둔 것으로 나타남.

-후성은 올 상반기 전해질 소재 부문에서 230억원 수준의 매출을 기록한 것으로 파악됨. 이는 작년 동기보다 100% 이상 증가한 액수며 지난해 연간 실적에 맞먹는 수치임.

-후성은 전해질을 구성하는 소재인육불화인산리튬(LiPF6)’을 국내에서 유일하게 생산 중임. 취급이 위험하고 반도체 수준의 제조 기술이 필요해 일본에서도 소수 업체만이 LiPF6을 다룰 정도여서 2차 전지 시장이 활성화될수록 후성의 제품이 각광을 받는 구조로 되어 있음.

-후성은 올해 연간 매출이 작년보다 2배 이상 늘어날 것으로 기대. 회사 측 “2차 전지 소재 부문에서 올해 500억원의 매출이 예상된다. LiPF6 생산 규모를 지속 확대할 방침이라고 전함.

-국내 기업들 가운데 2차 전지용 전구체 소재를 단독으로 생산 중인 에코프로도 선점 효과를 거두고 있음.

-에코프로는 올 상반기 497억원의 매출과 44억원의 영업이익을 기록. 작년 동기 대비 매출과 영업이익은 각각 118%, 159% 늘어남.

-전구체는 양극 활물질을 만드는 원료임. 현재 우리나라에서 필요로 하는 전구체는 월 1000톤 규모(니켈/코발트/망간계 기준)로 추산되지만 국산화율은 20%에 불과해 에코프로의 희소가치가 그 만큼 높음.